GUEST
-
성우 2011.02.17 11:41 신고
경남 남해 양아리 석각에 대해.一,
양아리 석각에 대한 해석은 여럿으로 알고 있고, 대표적 으로는 서불과차 라고 한다고 들었다 이는 서불과차 라기 보다 서 불 과 차(지), 秦 이 아닐까 한다. 뜻은 서불이 이곳을 들렸다 라는 뜻이라 한다. 서불은 기원전 4세기 중국 진나라 진시황의 명을 받고 불로초를 구하려 한반도 남단을 방문한 인물이라 한다. 그 흔적이 경남 남해의 암반위에 중국 고체(전서체 이전)로 기록한 서불과차(지) 라는 암각문이라 알려져 있다.중국 학계에서도 서불의 흔적이라 인정하고 있으나 그 해석에 있어 견해들이 나누고 있다. 아래는 그것을 살피고자 한다.
암각위에 새겨진 서불과차에 대해
먼 저 徐 에 대해서 余 가 서의 변음이며 당시는 이를 서로 읽엇음, 양아리석각문이 이글의 고체
人(사람 인이 아니라 지붕모양)+
木( 가지가 처지고 뿌리가 단순화한 나무 木)의 합성어
= 余( 나 여이지만 당시는 자신을 간접표현하는 자신의 집이나 나무지팡 형상으로 서로 읽었음)市,
市는 之+巾의 합성어로
之(갈지, 발모양 상형문자인데 이를 긴 획 상하에 짧은 획 2개로도 나타냄, 각문의 市의 우상)
巾(두건 건, 각문의 市의 아래, 두건을 둥글게 한번 두르고 그 끝을 길게 늘어뜨린 모양,)
옛 발음은 불로 읽음 過
이도 흘림체로 표시하면서 중간의 입口를 아래로 위치한듯
((?(=?)쉬엄쉬엄 가다)部와 ?(와→과입이 삐뚤어짐)의 뜻이 합(合)하여 바른 길을 지나쳤다는 데서 '지나다'를 뜻함. (사전))
?(=?)는
터럭 삼+卜+人의 합성어이며 고체로는 역 ㄷ자와 止 와 합한 모습 유사한 모양새,
또는 터럭 삼 대신에 터럭삼 보다 더욱 상형에 가까운 터럭 毛 의 고체로 빗변 2획과 수직으로 길게 그은 (암각에는 변화 있는 수직,입 口에 붙어 있는 선) 1획 과 그 및에 止 자
?의 고체가 석각문 過의 우측글이며, 간자로 寸인것, 또한 ?의 금문, 갑골문, 석각문을 보면 암각글의 자체와 유사함 - 각문 過의 우측 자로 보며 止
.... 중략
저는 위와같이 동양문물에 대해 연구 조사하고 그것을 네티즌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하는 사람입니다. 이를 위해 디스토리 초대장이 꼭 필요하니 보내주시면 정말 감사하겟습니다.
저의 이메일 주소는 hsw119@yahoo.co.kr 입니다.
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.남혜경 2011.01.18 13:02 신고죄송한데요. 급해서그런데 동양문화사레포트 비번좀 가르쳐 주세요.ㅜㅜ그리구요 제가이번에 가상강좌 동양문화사 처음쳐서그런데 시험형식이 어떻게나오는지 궁금합니다.ㅠㅠ 갈쳐주세요.
lovesh0123@naver.com입니다. 부탁드려요..ㅠㅠ김경근 2011.01.13 17:08 신고사이드와인더 프로시전 프로 게임포트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
님 글을 보고 노트북에서 사용하려고 게임포트 어뎁터를 구입했습니다.
설치까지는 했는데...조이스틱 설정에서 조이스틱이 움직이지를 않습니다.
사용환경은 xp, 프로그램은 flightsim.입니다.
염치불구하고 도움을 구합니다.
ds2frr@hanmail.net 입니다.